Korean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자료실

KoSQua 칼럼

KoSQua 칼럼

[의학신문] 코로나 시대 병원은 어떤 변화 겪게 될까? (20.06.29)
  • 관리자
  • |
  • 2249
  • |
  • 2020-09-07 10:57:21

 

김현아 
한국의료질향상학회 총무이사
삼성서울병원 QI실 부팀장

 

[의학신문·일간보사]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로 인해 의료인력들의 피로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의료인들이 느끼는 피로도는 진료와 관련된 업무와도 일부 관련이 있겠지만 감염이나 접촉을 피하기 위한 제약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의료진의 감염이나 의료기관에서의 집단감염은 의료체계의 급속한 붕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료인들의 감염에 대한 경각심 유지와 각별한 주의는 불가피한 일이다. 개선의 여지는 없는 것일까?

 

메르스사태를 겪으며 관계 당국과 의료기관은 음압병동 확충 등 감염병에 대비하여 다각도의 대응책을 마련해왔고 시민들의 위생의식 또한 높아진 것도 사실이지만 여전히 감염병이 확산되면 지역사회는 물론, 의료기관 안팎에서 사람들은 접촉을 피하려고 한다. 감염이나 접촉에 대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질환이 있는 환자는 치료나 처치를 위해 내원해야 하며 의료기관 역시 진료를 해야 한다. 환자나 의료진 모두 접촉은 줄이되 진료는 봐야 하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강력한 전염력을 갖고 있는 covid19의 확산과 이로 인한 국내외 전방위적 영향으로 의료환경은 급격히 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료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언택트’이다. 언택트란 대인 접촉 없이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 소비하는 것이다.

 

언택트 플랫폼 다양한 분야서 구축

언택트 플랫폼은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구축되어 있다.

 

학교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수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는 업무 특성에 따른 재택 근무와 화상회의, 금융권에서는 모바일뱅크, 식음료사업장에서는 키오스크를 통한 주문 등이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쇼핑을 통한 새벽 배송, ebook, 온라인영상이나 게임을 통한 홈트레이닝 등과 같이 언택트가 반영된 변화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의료기관의 진료와 운영은 언택트와는 다소 거리가 먼 대면접촉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서 요구되는 언택트의 개념이 의료현장에서는 어떤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언택트는 의료현장에서 어떤 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까? 이는 전반적인 진료 프로세스와 직원들의 근무환경 측면에서 구현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료프로세스에서 의료기관 탐색, 예약, 접수, 진료, 검사, 수술, 약 처방전 발급, 진단서나 보험회사 제출용 서류 발부, 수납 등 전 과정이 언택트에 기반을 둔 플랫폼으로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챗봇을 이용한 진료 예약, 모바일 앱을 이용한 접수, 로봇을 이용한 마스크 착용 및 발열체크, 진료 일정 안내, 로봇이나 모바일을 이용한 진료 대기 안내, 처방전 전송, 보험회사 제출용 서류 전송, 검사결과 안내, 입원환자의 린넨 교환 등의 요청 등과 같은 서비스, 키오스크 등을 이용한 무인 접수, 수납, 민원서류 제공 등이 있겠다.

 

나아가 좀 더 고도화되고 발전된 언택트 기반 진료시스템으로는 모바일을 이용한 예진, 웨어러블을 통한 생체 정보 수집 및 진료 시 활용, 원격진료, 안면 인식이 가능한 로봇에 의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증강현실·가상현실을 이용한 환자교육 등이 있을 것이다.

 

언택트 기반 근무환경 변화도 예상

둘째, 직원들의 근무환경과 관련한 언택트의 구현은 업무의 정확성 지원, 업무 행위의 대체, 의료진 교육 및 회의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진료 업무의 지원을 위해 닥터 왓슨과 같은 인공지능을 활용하거나, 방대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게 되면 진료의 공백없이 자료의 활용이 가능하여 진료의 정확성이 높아지게 된다.

 

위험하고 반복적인 업무, 항암제를 조제하고 배달하는 로봇 등이 사람이 하던 업무 행위를 대체할 수 있다. 화상 원내 회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료진 교육훈련 지원 등도 언택트에 기반한 근무환경의 변화다.

 

이러한 ‘언택트’라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흐름에 직면하며 의료현장에서 해결할 과제를 살펴보자. 변화는 단순히 기술의 도입만으로는 불가능하다.

 

현장에서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업무방식과 경험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을 정리하고 새로운 개념은 정의, 공유하여 기술 적용의 단계에서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 과마다 상이한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의 변화에 대한 노력과 더불어 새로운 시스템의 적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비용부담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의 의료수가체계에서 새로운 환경의 요구에 부응하여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아무리 노력을 하여도 그에 소요되는 비용 전부를 병원이 부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국가적 보건 위기 상황에서 의료인과 의료기관의 희생과 헌신만을 기대할 것이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의료기관의 변화를 위해 관계 당국의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관계당국과 의료기관 모두가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대처하고 미증유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

 

의학신문  medicalnews@bosa.co.kr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글 [의학식문] COVID-19 감염 대유행과 인증제도 (20.06.01)
다음글 [의학신문] '의료분쟁 제로' 목표로 노력하자 (20.07.27)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TOP